제2절 인덱스 기본
1. 인덱스 특징과 종류
-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책의 찾아보기와 유사한 기능
- DML작업은 테이블과 인덱스를 함께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느려질 수 있다
(1) 트리 기반 인덱스
- DBMS에서 가장 일반적인 인덱스는 B-트리 인덱스 이다.
- 브랜치 블록과 리프블록으로 구성
- 브랜치 블록의 가장 상위의 블록을 루트 블록이라고 한다.
(2) SQL Server의 클러스터형 인덱스
- SQL Server에는 클러스터형인덱스, 비클러스터형인덱스가 있다.
- 클러스터형인덱스의 2가지 중요성
- 인덱스의 리프페이지가 곧 데이터페이지
- 리프페이지의 모든 로우는 인덱스키 칼럼순으로 물리적으로 정렬되어 저장됨
2. 전체 테이블 스캔과 인덱스 스캔
(1) 전체 테이블 스캔 : 전체를 스캔하면서 조건에 맞으면 추출, 아니면 버리는 방식, 아래와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.
- SQL문에 조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
- SQL문의 주어진 조건에 사용 가능한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
- 옵티마이저의 취사 선택
- 병럴처리 방식으로 처리하는 경우 or 전체 테이블 스캔 방식의 힌트를 사용한 경우
(2) 인덱스 스캔 : 인덱스를 구성하는 칼럼의 값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액세스 기법
(3) 전체 테이블 스캔과 인덱스 스캔 방식 비교
'자격증 > SQL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년 41회 조금 늦게 작성하는 SQLD 시험 후기 및 기출문제?? (0) | 2021.06.01 |
---|---|
SQLD 정리 / 과목 2 SQL 기본 및 활용 / 제3장 SQL 최적화 기본 원리 / 제3절 조인 수행 원리 (0) | 2021.05.28 |
SQLD 정리 / 과목 2 SQL 기본 및 활용 / 제3장 SQL 최적화 기본 원리 / 제1절 옵티마이저와 실행계획 (0) | 2021.05.28 |
SQLD 정리 / 과목 2 SQL 기본 및 활용 / 제2장 SQL 활용 / 제8절 절차형 SQL (0) | 2021.05.27 |
SQLD 정리 / 과목 2 SQL 기본 및 활용 / 제2장 SQL 활용 / 제7절 DCL (0) | 2021.05.27 |